생활정보 / / 2021. 3. 19. 11:00

고교학점제 도대체 무엇일까?

반응형

고교학점제라는 새로운 교육제도가 곧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에 이 제도의 취지, 일정, 운영방법, 특징들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교학점제란

 

 

고교학점제-BI

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 ·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 · 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즉, 고등학생이 대학생처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교실을 옮겨 다니며 수강을 하고 정해진 학점을 이수하면 학년에 관계없이 졸업할 수 있는 교육제도입니다. 

 

2. 고교학점제의 취지

  • 맞춤형 교육 : 획일적인 교육을 통해 학생의 학습 동기와 흥미 유발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진정한 학생 맞춤형 교육을 실현해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 자기 주도적 교육 : 미래 사회에서는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개척해야 한다. 따라서 자신에게 필요한 배움이 무엇인지를 찾게 해 자기 주도록 학습 습관을 길러주고자 한다. 
  • 다양성 지원 : 학생들의 학습 속도와 목표가 제각각이다. 이 때문에 학생들을 수직으로 서열화시키는 것은 학습의욕을 저하시킨다. 이에 고교학점제의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3. 고교학점제의 운영방법

 

고교학점제-운영방법

학교는 많은 수업 개설을 통해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준비하고, 학생들은 자기 의지에 따라 희망과목을 선택해 수업을 듣게 됩니다. 수업 후 평가를 통해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은 학점을 취득하게 되며, 일정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은 보충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점을 이수할 수 있도록 지도를 받습니다. 학생들은 이렇게 취득한 학점이 일정 수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4. 고교학점제의 도입일정

 

 

고교학점제-도입일정

2021년 현시점에서는 도입 준비기로 마이스터고에 우선 실시 중입니다. 이를 계기로 2022년부터 특성화고에 학점제를 도입하고 일반계고에 제도를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을 거쳐 2025년에는 전체 고등학교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5. 고교학점제 도입 후 평가제도의 변화는?

고교학점제-포스터

  • 학생들이 진로나 적성에 따라 자유롭게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2019년 고1부터 '진로선택과목'은 석차등급이 아닌 성취도 (A, B, C)를 대입 전형자료 (22학년도 대입)로 제공합니다.
  • 진로선택과목은 학생의 교과융합, 진로안내, 교과별 심화, 실생활 등을 위해 2015 교육과정에서 신설되었으며,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선택하는 과목입니다. 고전 읽기, 경제 수학, 여행 지리, 과학사 등 다양한 과목들이 교육과정에 진로선택과목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 고교학점제가 본격 시행되는 2025년부터 학생별 맞춤형 교육을 위해 전면 개정된 교육과정이 적용되며, 2025년 고1부터 모든 과목에서 성취도를 대입 전형자료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6. 그렇다면 성취평가제라는 것이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평가

교육 체계가 어떤 방식으로 바뀌던지 평가를 해야 하는 측면은 동일하다. 고교학점제의 평가방식은 성취평가제이다. 결론 먼저 이야기하자면 '절대평가'제도이다. 즉, 기존의 누가 더 잘했는지를 평가하는 방식이 아닌 학생 스스로 무엇을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를 보겠다는 말이다. 

 

7. 고교학점제의 단점도 있을까? (개인적인 의견)

 

학교

자칫 입시에 도움이 되는 과목에 아이들이 몰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왜냐하면, 현재 대한민국 고등학교는 대학입시를 위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문화가 사라지지 않는 한 지금과 별 다른 변화가 있을 거라 생각하지는 않는다.

 

또한 과목이 많아지는 만큼 교실 수와 교사 수의 부족할 여지가 있다. 과연, 이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을까? 또한 새로이 만들어지는 과목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교사들이 현재 학교에 배치되어 있는가? 예를 들어 지금까지 수학 1을 가르쳤던 교사가 경제 수학을 가르칠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이 든다.  

 

지금까지 고교학점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도의 취지와 목표는 손뼉 칠만하다. 하지만, 그전에 선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있는 만큼 남은 시간 이를 잘 보완하여 교육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기를 바란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