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2. 6. 2. 23:01

주택관리사 2차 시험과목 정리

반응형

주택관리사 2차 시험과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관리사 시험을 준비 중인 수험생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입니다. 주택관리사 2차 시험과목 외에 합격에 필요한 여러 가지 내용을 담아 보았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시기 바라며 지금부터 주택관리사 2차 시험과목 알아보겠습니다. 

 

주택관리사 자격증 시험 개요

주택관리사는 공동주택의 운영ㆍ관리ㆍ유지ㆍ보수 등을 실시하고 이에 필요한 경비를 관리하며, 공동주택의 공용 부분과 공동소유인 부대시설 및 복리시설의 유지ㆍ관리 및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주택관리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를 말합니다. 

 

  • 1989년 제도 첫 도입 1997년 1월 1일부터 자격증 소지자의 채용을 의무화하는 규정 시행
  • 2005년까지는 격년제로 시행하였으나, 2006년부터는 매년 1회 시행하고 있습니다.
  •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95조(업무의 위탁)에 따라 주택관리사 자격시험의 시행에 관한 업무를 2008년부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

 

주택관리사 2차 시험과목

주택관리사 2차 시험은 2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는 주택관리 관계법규, 다른 하나는 공동주택관리실무입니다. 2차 시험의 출제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택관리 관계법규

  • 「주택법」 「공동주택관리법」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공공주택 특별법」
  • 「건축법」
  • 「소방 기본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승강기 안전관리법」
  • 「전기사업법」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도시 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2. 공동주택관리실무

  • 공동주거관리 이론
  • 공동주택 회계관리·입주자 관리, 대외업무, 사무·인사관리
  • 시설관리, 환경관리, 안전·방재관리 및 리모델링, 공동주택 하자관리(보수공사 포함) 등

 

시험은 과목당 50분을 부여합니다. 객관식 5지 택일형 및 단답형 또는 기입형으로 문제가 출제됩니다. 2차 시험은 1차 시험과 달리 합격기준이 까다롭습니다. 

 

선발예정인원의 범위 내에서 합격자 결정 점수(과목당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모든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 한자. 다만, 모든 과목 40점 이상이고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의 득점을 한 사람의 수가 선발예정인원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모든 과목 40점 이상을 득점 한자로 함.) 이상을 얻은 사람으로서 전과목 총득점의 고득점자 순으로 결정합니다. 

 

  • 동점자로 인하여 선발예정인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동점자를 모두 합격자를 결정.
  • 이 경우 동점자의 점수는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만 계산하며, 반올림은 하지 않음.

 

주택관리사 2차 합격률

주택관리사 2차 합격률은 1차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습니다. 1차 시험의 합격률은 보통 10%를 간신히 넘는 수준인데 비해 2차 시험은 8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이를 미루어 봤을 때 주택관리사 시험의 합격 당락은 1차 시험의 합격 여부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2차 시험을 가벼이 여길 수 없으나 1차 시험에 비중을 두어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만약 2차 시험에 합격해 자격을 취득한다면 공동주택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입주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운영 관리 유지 보수 등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비를 관리하며 공동주택의 공용 부분과 공동 소유인 부대시설 및 복리시설의 유지 관리 및 안전관리를 실시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이상 주택관리사 2차 시험과목이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