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 / 2021. 3. 28. 22:13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그리고 구입처까지 총정리

반응형

온누리상품권 자주 보시나요? 저는 가끔씩 선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매번 사용처가 어디인지 정확히 알지 못해 난감한 상황에 봉착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온누리상품권 사용처에 대해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1. 온누리상품권 오프라인 사용처

  • 사용처의 대 원칙은 국내 전통시장입니다.
  • 다만, 모든 전통시장이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가 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점포가 가맹점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가맹점 중 일부는 종이 상품권만 또 다른 곳은 모바일 상품권만 받는 곳이 구분되어 있어 확인이 필요한데
  •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온누리 마켓 가맹점포 찾기에 들어가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가맹점포찾기

홈 > 온누리상품권 > 가맹점포찾기

www.sbiz.or.kr

검색 시 유의사항은 위에서 언급드렸다시피 소지한 상품권의 종류를 선택한 후 해당 전통시장 가맹점에서 취급 가능한지 순서대로 확인 후 방문해 주셔야 합니다. 

 

2. 온누리 상품권 온라인 사용처

 

전자상품권과 모바일 상품권이 존재하기 때문에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쇼핑몰을 아래에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자상품권

 

  • 우체국 전통시장
  • 온누리 전통시장
  • 온누리 팔도시장
  • 제주 전통시장 쇼핑몰
  • 인터넷 수산시장
  • 사람 풍경 온누리 장터
  • 온누리 시장
  • e경남 몰
  • 지마켓
  • 옥션
  • 인 더 마켓 온누리 쇼핑몰

(2) 모바일 상품권

 

  • 온누리 시장
  • e경남 몰
  • 농장
  • 인 더 마켓 온누리 쇼핑몰

 

3. 온누리 상품권 종류

종이상품권

구분 종이상품권 전자상품권 모바일상품권
종류 5천원권, 1만원권, 3만원권 5만원권, 10만원권 5천원권, 1만원권. 3만원권
5만원권, 10만원권
온라인 사용처 사용불가 우체국전통시장 외 10 온누리시장 외 3
형태 종이 카드 스마트폰 app

위와 같이 총 3가지의 형태로 발급 가능하며, 종이상품권은 온라인에서 사용 불가 하니 이점 반드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온라인 사용처는 앞에서 언급되어 간단히 정리 해 두었습니다. 

 

(4) 온누리 상품권 구입처

전자상품권-모바일상품권

  • 종이상품권 :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수협, 신협, 농협은행, 우체국, 새마을금고, 기업은행, 수협은행, 하나은행
  • 전자상품권 : 우리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비씨카드
  • 모바일 상품권 : 올원 뱅크(농협), 투유 뱅크(경남), 스마트뱅킹(광주), M뱅크(대구), 썸 뱅크(부산), 뉴스마트 뱅크(전북), 머니트리, 비플제로페이, 체크 페이, 페이코, 유비페이, 신한은행 SOL, 핀트, 핀크, 슬배생, 티머니 페이, 제로 페이 010, 시럽 스마트월렛, 우리은행
  • 주의할 점은 농협 중앙회 (농협은행)에서만 온누리 상품권을 취급하며, 지역 농축협은 취급이 불가합니다.
  • 할인 혜택 : 5% (개인, 현금 구매 시)
  • 개인 구매한도 : 월 50만 원
  • 법인 구매한도 : 한도 없음

어떠셨나요?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이젠 헷갈리시지 않으시겠죠? 구입처도 함께 안내해드렸으니 앞으로 사용상 불편함이 없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